

HOME > 질문과답변 > 진료상담문의진료상담문의
2014 바뀐 재생의료법으로 사지재생 임상 자유로워 젔습니다
현재 사지재생이 미국과 중국이 독점을 하고있습니다 .
특히나 손가락의 경우는 단백질이 지방 근육 혈관 뼈 신경 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미국 중국이 뭐 대단한발견은 아니고 , 중국은 미보크림을 촉매제로 미국은 돼지방광지방가루를 촉매제로 하여
거기에 환자본인의 세포를 재생시켜서 상처부위의 표피에 세포활동이 왕성환 곳에 도포하거나 뿌려서 세포들의
왕성한 재생능력을 인위적으로 끌어내서 재생을 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
우리나라도 현재 난치/희귀병에 한하여 재생세포복제를 허가한다고 4월에 의료법이 개정된걸로 압니다 .
현재 국내에서 신경 ,혈관 , 뼈(조골)세포 복제가 연골재생수술분야 에서 성공적으로 재생된걸로 압니다.
- 구글사이트참조 -
그렇다면 세포외기질인 단백질이나 지방등의 역할을 하는 (주로 콜라겐이 많은 성분) 미국이나 중국의 생약성크림이나 돼지방광가루를 대체할수있는 대체지방질만 찾으면 되는것 아닌지여 ?
난치라 함은 현재 의학으로는 불가능한 치료를 말합니다 .
그렇다면 사지손상환자들은 난치에 해당됩니다 .
그렇다면 그 난치의 환자들은 본인의 성체줄기세포를 복제하여 촉매제에 같이 혼합하여 사용하여 재생이 가능함을 의미합니다 .
물론 , 사지재생쪽에서 미국 중국보다 늦은감은 있지만 , 연골재생의 국제특허를 받은 기술력만으로도 미국 중국을 얼마든지 추월할수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
법이 항상 늦어 문제이지요 .^^
또한 , 사고직후 치료를 하는 외국의 재생치료방법도 사고후 반흔이 생긴 의학적용어로 세포가 재생불가능한 ??? 영역이라고 현재까지는 알려진 조직부분에도 새로운 세포외기질과 환자세포를 복제한 혼합물을 발라서 재생기능이 상실된 능려을 복제세포와 반응하여 끌어내는 임상이 진행중일라는 군요 .
재생시장의료법이 통과한후 지금의 재생세포시장보다 수십배이상의 빠른 진화를 보일거라고 믿는사람입니다 .
물론 , 중국등에서는 시설은 낙후하지만 워낙 사망인구를 상대로 임상을 자유롭게 하여 미국보다도 앞서있는것으로 판단됩니다 .
초기시장은 안타깝게도 미국 중국의 사고직후 재생치료가 선점을 한 상태라 , 그 부분의 재생의학을 따라갈 필요는 없어지는군여 . 대신에 사고이후의 잠재적인 세포재생기능이 현저히 떨어진 조직부분을 다시 재생하는
촉매제나 건강한 복제세포의 추출량을 늘려 기존의 화성화되는 기능보다 수퍼재생능력을 보이도록 재생치료를 개발한다면 세계에서 미국 중국의 어마어마한 사지재생시장 자체를 흡수해버리는 재생의학의 선두국가가 될거라 개인은 생각합니다 .
못살던 한국이 80 ~90년대 암치료에 전력을 다하여 암에 대한 수많은 치료를 외국에 가지않고 국내서 받듯이
저렴하고 선진화된 기술로 다양한 안과 성형수술을 최첨단을 달리듯이 이제는 국가에 돈도 되고 , 인류에 공헌이 가능한 사지재생분야를 빨리 서둘러야 할 시점이라고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