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찾아오시는길

HOME > 회원마당 > 보도자료보도자료

줄기세포 이식 후 생착률 높일 단서 찾았다

여섯시반 | 2019.08.19 10:09 | 조회 24555



국내 연구진이 이식된 줄기세포가 사멸하지 않고 생착률을 높일 단서를 찾아내는데 성공했다.

한국연구재단은 한호재 서울대 교수 연구팀이 줄기세포가 이식 후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허혈환경에 노출되면서 이식률이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하고 치료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단백질을 조절하는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줄기세포는 심근병증, 뇌졸중, 만성 신장병, 만성 퇴행성 관절염 등의 질환에 이용된다. 하지만 이식 시 세포내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할 경우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허혈성 손상으로 이식 생착률이 낮아진다.

허혈유도인자(HIF1α)가 유전정보가 들어있는 핵 안으로 이동해 대사 조절 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깨우면서 손상에 저항하게 되는데 어떻게 허혈유도인자가 세포핵 안으로 이동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세포내 물질 수송을 담당하는 미세소관 운송단백질(BICD1)을 탐색했다. 그 결과 운송단백질과 미세소관 매개 수송 운동단백질(Dynein)이 허혈유도인자와 결합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운송단백질에 특이적인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면 허혈유도인자의 핵 이동이 감소했고 반대로 과발현했을 때는 증가했다. 이들 통해 연구팀은 운송단백질의 작용이 허혈환경에서 허혈유도인자가 핵으로 이동하도록 돕는 것을 확인했다. 또 운송단백질의 활성을 연구진이 개발한 지질대사체(cP1P)로 조절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실제 허혈을 유도한 생쥐모델 실험에서도 미세소관 운송단백질을 부족하게 하고 줄기세포를 이식했을 때 치료효과가 감소하고, 지질대사체를 투여했을 때 생착률이 크게 향상 됐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줄기세포의 이식 치료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또 난치성 질환에 대한 줄기세포 치료제의 임상적용을 높이기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호재 교수는 "이번에 규명된 BICD1의 생리학적 역할은 줄기세포의 허혈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료제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며, 세포대사 조절효과가 확인된 cP1P는 새로운 줄기세포 치료 효능향상 물질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설명했다.

김선원 한국연구재단 차세대바이오단장은 "줄기세포에서 효과적인 허혈적응반응을 유도하는 미세소관 운송단백질의 기능 규명은 향후 줄기세포 분야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및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 성과는 네이처(Nature) 자매지 '셀 데스 & 디지즈(Cell Death & Disease)'에 5일 게재됐다.    

 

 

http://hellodd.com/?md=news&mt=view&pid=69374

길애경 기자 kilpaper@HelloDD.com

보도자료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943 “줄기세포 이용한 황반변성 치료 가능성 열려” 관리자 1669 2025.05.22
942 ‘유전자 가위’로 문제 DNA 찾아내 ‘싹둑’, 희귀질환 아기 살렸다 관리자 487 2025.05.19
941 “세포 치료, 개원의에도 기회 줘야” 김응석 1527 2025.03.05
940 줄기세포 배양 기술, 심부전 환자들에게 새 희망 열다 관리자 3968 2025.02.12
939 IT·과학 “수명 늘리러 우주로 갑니다”…무중력 상태서 의료 신기술 만든.. 관리자 1220 2024.12.17
938 치매 환자의 새로운 희망, 줄기세포로 치료 가능성 열다 관리자 4971 2024.12.13
937 부산시 특사경, 줄기세포 화장품 등 부당 광고업체 11곳 적발 이희영 4427 2024.10.11
936 ‘줄기세포 배양부터 치료 증례까지’ 벳스템솔루션 10월 28일 세미나 이희영 4524 2024.10.11
935 대한 줄기세포 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 성황리 성료 관리자 4296 2024.10.10
934 배양육 미팅이었고 주로 세포 배양 오가노이드 대체육 등 이희영 1763 2024.10.10
933 자가iPS당뇨치료; 인슐린생산 증가 가능; 자가세포가 중요함 이희영 1850 2024.10.04
932 당뇨치료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가능성이 높다 이희영 1153 2024.10.04
931 신장 재생 Lrig 1 마커 이희영 1283 2024.08.21
930 답글 마커의 유무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희영 1325 2024.08.21
929 유방암 보형물에서 배양 지방줄기세포 사용 이희영 5271 2024.08.21
928 답글 좋은 시도인데 배양이 필요하네요 이희영 1624 2024.08.21
927 이건 제 글입니다; 규제완화 요망 이희영 1289 2024.08.21
926 연세사랑 고용곤원장; 규제완화 요망 이희영 1196 2024.08.21
925 답글 배양을 강조하시니 감사하네요 이희영 1458 2024.08.21
924 뇌 조직 직접 대체 시도; 곧 인간에게도 적용할 것 같습니다. 이희영 1528 202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