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찾아오시는길

HOME > 회원마당 > 보도자료보도자료

DGIST, 위 점막 재생 줄기세포 존재 규명…위암 등 발병원인 규명·치료 활용 기대

여섯시반 | 2019.08.22 10:39 | 조회 24093

[이데일리 이연호 기자] DGIST는 뉴바이올로지 전공 김종경 교수팀이 한국, 오스트리아, 영국이 함께하는 공동연구에 참여해 역할과 특성이 다른 두 종류의 ‘위 줄기세포’ 존재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향후 위장질환, 위암 등의 발병원인 규명과 치료법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색 마우스 색종이 리포터 시스템을 통해 다른 색으로 보이는 두 종류의 위 줄기세포군(A)과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한 위 줄기세포의 계통 추적 모식도(B). 그림=DGIST.

 
위 내부 위점막층의 상피는 음식이 지나가며 손상되지만 상피 내 위샘에 위치한 위 줄기세포가 세포 재생을 통해 손상부위를 복구한다. 과학자들이 위 줄기세포 관련 연구를 진행한 결과 상피 내 ‘위샘’ 상부에만 줄기세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런데 최근 위샘의 하부인 ‘기저부’에서 줄기세포가 추가로 발견되는 등 정확한 위치 식별이 매우 어려웠다.

위치 식별이 이토록 힘든 이유는 위샘에서 줄기세포를 구분할 수 있게끔 하는 마커 유전자의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다른 방식으로 위치를 찾고 위치별 줄기세포의 특성도 찾아냈다. 마커 유전자 대신 분열하는 세포의 특성으로 위치 식별이 가능한 ‘다색 마우스 색종이 리포터 시스템(Multi-Color Mouse Confetti Reporter System)’을 이용해 생쥐의 위상피세포 계통 추적에 성공한 것이다.

식별 원리는 줄기세포를 색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생쥐에 타목시펜을 투약하고 현미경으로 세포 분열과 이동을 관찰하면 줄기세포는 네 가지 색상 중 하나로 표시된다. 특히 줄기세포가 분열·이동하며 생성된 딸세포가 원래의 줄기세포와 같은 색상을 띄어 여러 색종이 조각들을 이어붙인 모자이크 같은 위샘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런 원리를 이용해 연구팀은 위샘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위 줄기세포를 규명했다. 이는 관련 분야에서 해결하지 못했던 난제를 해결한 것으로 의미가 크다.

또 연구팀은 상부, 하부에 있는 위 줄기세포들의 분자적 특성을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을 이용해 규명했다. 특히 상부 줄기세포가 갖는 빠른 분열로 위샘 상부의 재생을 담당하는 성질과 하부 줄기세포가 갖는 느린 분열로 위샘 하부의 재생을 담당하는 특성을 각각 파악하는데 성공했다. 이 같은 위샘의 재생은 위점막층 재생에 영향을 줘 관련 질병 원인의 규명과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김종경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역할과 특성이 서로 다른 두 가지 종류의 위 줄기세포의 위치와 분자적 특성을 규명했다”며 “위장질환과 위암의 발병 원인 이해와 치료법 개발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이은민 연구원이 공동2저자로 참여했으며 오스트리아 IMBA의 구본경 박사, 영국 케임브리지대 벤자민 시몬스(Benjamin D. Simons) 교수와 함께 진행했다. 연구 결과는 줄기세포 분야의 국제학술지 셀스템셀(Cell Stem Cell)에 지난 15일 발표됐다.
 
보도자료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943 “줄기세포 이용한 황반변성 치료 가능성 열려” 관리자 1608 2025.05.22
942 ‘유전자 가위’로 문제 DNA 찾아내 ‘싹둑’, 희귀질환 아기 살렸다 관리자 473 2025.05.19
941 “세포 치료, 개원의에도 기회 줘야” 김응석 1505 2025.03.05
940 줄기세포 배양 기술, 심부전 환자들에게 새 희망 열다 관리자 3910 2025.02.12
939 IT·과학 “수명 늘리러 우주로 갑니다”…무중력 상태서 의료 신기술 만든.. 관리자 1207 2024.12.17
938 치매 환자의 새로운 희망, 줄기세포로 치료 가능성 열다 관리자 4911 2024.12.13
937 부산시 특사경, 줄기세포 화장품 등 부당 광고업체 11곳 적발 이희영 4373 2024.10.11
936 ‘줄기세포 배양부터 치료 증례까지’ 벳스템솔루션 10월 28일 세미나 이희영 4477 2024.10.11
935 대한 줄기세포 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 성황리 성료 관리자 4245 2024.10.10
934 배양육 미팅이었고 주로 세포 배양 오가노이드 대체육 등 이희영 1738 2024.10.10
933 자가iPS당뇨치료; 인슐린생산 증가 가능; 자가세포가 중요함 이희영 1827 2024.10.04
932 당뇨치료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가능성이 높다 이희영 1142 2024.10.04
931 신장 재생 Lrig 1 마커 이희영 1271 2024.08.21
930 답글 마커의 유무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희영 1313 2024.08.21
929 유방암 보형물에서 배양 지방줄기세포 사용 이희영 5215 2024.08.21
928 답글 좋은 시도인데 배양이 필요하네요 이희영 1606 2024.08.21
927 이건 제 글입니다; 규제완화 요망 이희영 1277 2024.08.21
926 연세사랑 고용곤원장; 규제완화 요망 이희영 1182 2024.08.21
925 답글 배양을 강조하시니 감사하네요 이희영 1440 2024.08.21
924 뇌 조직 직접 대체 시도; 곧 인간에게도 적용할 것 같습니다. 이희영 1507 202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