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찾아오시는길

HOME > 회원마당 > 보도자료보도자료

줄기세포로 '코로나19' 치료 가능할까...

관리자 | 2020.04.20 14:42 | 조회 18211
이희영 대한줄기세포치료학회장, 기자간담회서 밝혀
급성호흡부전증 세포치료로 사망률 낮춰...빠른 회복
면역력 위한 시간 확보..."규제 최소화해 활용해야"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줄기세포 기술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중증 환자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코로나19를 비롯한 각종 감염병이 수반하는 환자가 자체 면역력을 갖도록 해 폐손상에 따른 빠른 회복을 돕고, 예후도 좋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과학적으로 줄기세포 치료 기술의 안전성도 확인되는 상황에서 환자들의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해 중증환자를 대상으로 이를 줄기세포치료기술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일반적인 세포치료제는 위탁세포 배양 후 품질검사 시스템으로 식약처 인허가가 필요하고 치료비용도 수천만원 또는 수억원에 이른다. 반면 이 회장이 밝힌 줄기세포 치료 기술은 최소 조작 증식 밀폐 배양 기술로 의사 자율 진료가 가능하다.

이 방법을 활용하면 지방, 피부, 골수 등 환자의 자가세포를 1회용 이동형 배양기에서 배양시켜 이를 환자에게 반복 투여해 효과를 볼 수 있다. 세포 배양은 3시간 이내 의사, 간호사 등 의료진을 대상 교육으로 가능하고, 이동형 배양 도구를 활용해 수십만원 또는 수백만원 이하로 병원 수가를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세포가 아닌 소모품을 판매한다는 점에서 윤리적 문제가 없고, 환자의 자가세포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비용 부담도 상대적으로 적다. 그러면서 각종 폐질환에 유용하해 중간엽줄기세포 재생촉진이나 면역세포를 통한 조직 재생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가령 환자에게 폐렴 등 기저질환과 기도손상이 발생하면 염증세포가 다수 발생한다. 이후 면역반응이 폐손상을 가속화시키는데 세포치료를 통해 폐손상을 치유하고, 사망률을 낮추면서 빠른 회복을 도울 수 있다는 판단이다.

이 회장은 “코로나19 치료제나 백신 개발이 더디고, 변이도 심한 가운데 바이러스가 공격해 이미 망가진 중증환자의 폐를 회복해야 한다”며 “줄기세포를 활용하면 폐나 다른 장기의 치유를 도와 환자가 병을 이길 면역력을 확보할 시간을 벌어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다는 판단이다. 이 회장은 “줄기세포는 혈액 수혈 같은 세포치료 기술이라고 보면 된다”며 “인류 혈액 수혈 역사와 궤를 같이 한 오랜 기술로 안전성을 입증해 왔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첨단재생바이오법이 제정되면서 국내에서도 오는 9월 세부 시행령 제정을 앞뒀다. 이 회장은 “시행령 제정을 앞둔 가운데 규제를 최소화해 줄기세포 치료가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민구 (science1@edaily.co.kr)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18&aid=0004623508&date=20200420&type=1&rankingSeq=8&rankingSectionId=105
보도자료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944
943 “줄기세포 이용한 황반변성 치료 가능성 열려” 관리자 1732 2025.05.22
942 ‘유전자 가위’로 문제 DNA 찾아내 ‘싹둑’, 희귀질환 아기 살렸다 관리자 507 2025.05.19
941 “세포 치료, 개원의에도 기회 줘야” 김응석 1551 2025.03.05
940 줄기세포 배양 기술, 심부전 환자들에게 새 희망 열다 관리자 4025 2025.02.12
939 IT·과학 “수명 늘리러 우주로 갑니다”…무중력 상태서 의료 신기술 만든.. 관리자 1240 2024.12.17
938 치매 환자의 새로운 희망, 줄기세포로 치료 가능성 열다 관리자 5028 2024.12.13
937 부산시 특사경, 줄기세포 화장품 등 부당 광고업체 11곳 적발 이희영 4488 2024.10.11
936 ‘줄기세포 배양부터 치료 증례까지’ 벳스템솔루션 10월 28일 세미나 이희영 4581 2024.10.11
935 대한 줄기세포 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 성황리 성료 관리자 4351 2024.10.10
934 배양육 미팅이었고 주로 세포 배양 오가노이드 대체육 등 이희영 1785 2024.10.10
933 자가iPS당뇨치료; 인슐린생산 증가 가능; 자가세포가 중요함 이희영 1870 2024.10.04
932 당뇨치료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가능성이 높다 이희영 1170 2024.10.04
931 신장 재생 Lrig 1 마커 이희영 1297 2024.08.21
930 답글 마커의 유무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희영 1340 2024.08.21
929 유방암 보형물에서 배양 지방줄기세포 사용 이희영 5326 2024.08.21
928 답글 좋은 시도인데 배양이 필요하네요 이희영 1642 2024.08.21
927 이건 제 글입니다; 규제완화 요망 이희영 1302 2024.08.21
926 연세사랑 고용곤원장; 규제완화 요망 이희영 1211 2024.08.21
925 답글 배양을 강조하시니 감사하네요 이희영 1477 2024.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