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찾아오시는길

HOME > 회원마당 > 보도자료보도자료

"탯줄 줄기세포로 코로나19 중환자 치료 가능"

관리자 | 2021.01.08 10:28 | 조회 17083

송고시간2021-01-07 09:23

 
  
 
탯줄혈액 냉동 보관
탯줄혈액 냉동 보관

[연합뉴스 TV 캡처]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umbilical cord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이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환자를 소생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마이애미대학 의대 세포 이식 센터(Cell Transplant Center)의 카미요 리코르디 박사 연구팀이 마이애미대학 잭슨 메모리얼 병원에 입원한 코로나19 중환자 2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6일 보도했다.

이 환자들은 모두 중증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RDS: sever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이 발생한 중환자들이었다.

연구팀은 무작위로 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엔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1억개 씩을 3일 간격으로 두 차례에 걸쳐 정맥주사로 투여했다. 다른 그룹엔 위약(placebo)이 투여됐다.

임상시험은 누구에게 줄기세포 또는 위약이 투여됐는지를 환자와 연구팀 모두 모르게 하는 이중맹(double blind)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로부터 1개월 후 줄기세포가 투여된 환자는 91%, 위약이 투여된 환자는 42%가 살아남았다.

줄기세포 그룹에서는 85세 이하 환자는 모두(100%) 생존했다.

줄기세포가 투여된 환자는 또 회복 시간도 빨랐다. 절반 이상이 마지막 줄기세포 치료 후 2주 안에 퇴원했고 30일 후에는 80%가 퇴원했다. 대조군은 37%에 그쳤다.

줄기세포 투여의 안전성도 입증됐다. 심각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탯줄 유래 줄기세포가 코로나19 중환자의 특징인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을 차단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사이토카인 폭풍'은 면역체계의 폭발적인 과잉 염증반응으로 코로나19 증상을 급격히 악화시킨다.

탯줄 유래 줄기세포는 신체 기관을 손상시키는 과도한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과거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도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과잉 면역 반응과 염증 반응을 바로잡는 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손상된 조직의 재생도 촉진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중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보다 규모가 큰 임상시험을 진행하기로 하고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승인을 신청했다.

건강한 신생아의 탯줄은 1만 회분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양의 줄기세포를 생성하기 때문에 탯줄 유래 줄기세포의 이 같은 효과가 확인된다면 코로나19 중환자 치료에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스템셀 중개의학'(STEM CELL Translational Medicine) 신년호에 발표됐다.

skhan@yna.co.kr

보도자료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943 “줄기세포 이용한 황반변성 치료 가능성 열려” 관리자 1542 2025.05.22
942 ‘유전자 가위’로 문제 DNA 찾아내 ‘싹둑’, 희귀질환 아기 살렸다 관리자 451 2025.05.19
941 “세포 치료, 개원의에도 기회 줘야” 김응석 1474 2025.03.05
940 줄기세포 배양 기술, 심부전 환자들에게 새 희망 열다 관리자 3832 2025.02.12
939 IT·과학 “수명 늘리러 우주로 갑니다”…무중력 상태서 의료 신기술 만든.. 관리자 1186 2024.12.17
938 치매 환자의 새로운 희망, 줄기세포로 치료 가능성 열다 관리자 4843 2024.12.13
937 부산시 특사경, 줄기세포 화장품 등 부당 광고업체 11곳 적발 이희영 4307 2024.10.11
936 ‘줄기세포 배양부터 치료 증례까지’ 벳스템솔루션 10월 28일 세미나 이희영 4418 2024.10.11
935 대한 줄기세포 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 성황리 성료 관리자 4182 2024.10.10
934 배양육 미팅이었고 주로 세포 배양 오가노이드 대체육 등 이희영 1710 2024.10.10
933 자가iPS당뇨치료; 인슐린생산 증가 가능; 자가세포가 중요함 이희영 1801 2024.10.04
932 당뇨치료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가능성이 높다 이희영 1127 2024.10.04
931 신장 재생 Lrig 1 마커 이희영 1253 2024.08.21
930 답글 마커의 유무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희영 1294 2024.08.21
929 유방암 보형물에서 배양 지방줄기세포 사용 이희영 5144 2024.08.21
928 답글 좋은 시도인데 배양이 필요하네요 이희영 1585 2024.08.21
927 이건 제 글입니다; 규제완화 요망 이희영 1263 2024.08.21
926 연세사랑 고용곤원장; 규제완화 요망 이희영 1165 2024.08.21
925 답글 배양을 강조하시니 감사하네요 이희영 1418 2024.08.21
924 뇌 조직 직접 대체 시도; 곧 인간에게도 적용할 것 같습니다. 이희영 1485 2024.08.20